인천철학관 애가타(Aegata)

사주명리학에 대한 이해(1) 본문

사주명리학

사주명리학에 대한 이해(1)

석원(釋園) 2017. 2. 14. 09:51

사주명리학에 대한 이해(1)

태양계

지구는 자전을 하면서 공전을 하고, 지구가 속한 태양계도 우리은하를 중심축으로 공전을 하며, 우리은하 역시 은하단을 중심축으로 공전을 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도 현재도 미래도…

지구의 이러한 원운동의 과정을 "시간"이라고 이름붙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1자전의 과정을 하나로 "하루"라고 했고, 2개로 나누어 밤낮이라 하고, 24개로 나누어 1시간이라 합니다. 그러나 옛날에는 12개로 나누어 현재의 2시간을 하나로 계산한 적도 있습니다. 즉 하루를 12개로 나누어 12지지로 표시했습니다.

지구의 1공전의 과정을 하나로 "1년"이라 했고, 4개로 나누어 4계절이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옛날에는 1년을 2개로 나누어 "춘추"라고 했으며, 12개로 나누어 12지지로 표시했고, 24개로 나누어 24절기라 했습니다.

지구는 일정한 속도로 원운동을 할 뿐인데 사람들은 필요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시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시간을 어떻게 표시하든 근원은 지구의 원운동에 있습니다. 지구가 일정한 속도로 원운동을 하기 때문에 시간에는 "규칙성, 반복성"의 특징이 있습니다. 시간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시간의 특성때문입니다.

지구가 일정한 속도로 운동하기 때문에 시간에는 시각과 시각사이의 시간이 일정하여 기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하루에서 낮과 밤의 기간이나 각 계절의 기간을 알 수 있습니다.

지구가 원운동을 하기 때문에 현재를 알면 과거나 미래의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현재가 봄이면 과거는 겨울이고, 미래는 여름입니다.

지구가 원운동을 하기 때문에 규칙성이 있습니다. 즉 밤과 낮이나 사계절이 규칙적으로 순서에 따라 변해갑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시간을 동양에서는 음양오행의 기운으로 표시했습니다. 지구의 원운동을 기운의 변화를 기준으로 시간을 구분하여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조합하여 60개의 간지로 표시했습니다.

연도를 간지로 표시했고, 월을 간지로 표시했으며, 일과 시도 간지로 표시했습니다. 즉 연월일시를 모두 간지로 표시했습니다. 이것이 사주고, 팔자이며, 사주팔자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사주(사주팔자)는 시간의 또 다른 표시면서 시간별로 변화해 가는 기운의 분포(氣分)를 알 수 있습니다.

 

기운의 분포가 좋은 것을 줄여서 "기분 좋다"고 말합니다.

기분이 좋을 때는 하는 일이 생각보다 잘 됩니다. 잘 되는 이유는 주변의 상황이나 여건이 자신에게 유리하게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일이 잘 되니 남들이 내 능력을 높게 평가합니다. 그러므로 자신감과 의욕이 증가하여 적극적인 삶이 되고 성공하는 길이 됩니다.

 

기운의 분포가 나쁜 것을 줄여서 "기분 나쁘다"고 말합니다.

기분이 나쁠 때는 하는 일이 잘 안 됩니다. 성과가 저조합니다. 잘 안 되는 이유는 주변의 상황이나 여건이 자신에게 불리하게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일의 성과가 저조하니 남들이 내 능력을 저 평가합니다. 그러므로 자신감과 의욕이 떨어져 소극적인 삶이 되고 실패하는 길이 됩니다.

기의 분포인 기분은 시간이므로 시간에 따라 기분이 바뀌고, 기분에 따라 실적이 다르며, 실적에 따라 능력의 평가가 다르고, 상대방의 평가에 따라 삶의 적극성 정도가 다르며, 생활자세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나누어집니다. 결국 기분인 시간에 따라 성공도 되고, 실패도 됩니다.

"무엇"이 성패를 가르는 게 아니라 "시기"가 성패를 가릅니다. 즉 무엇을 해서 성공하거나 실패한 것이 아니라, "시기(때)"에 맞으면 성공으로 나타나고, 맞지 않으면 실패로 나타납니다.

논리로 푸는 사주명리학에서는 기분(氣分)의 변화과정을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시했습니다.

모든 시간을 음양오행의 간지로 표시했으므로 1시간, 하루, 계절, 연등 어디에도 기분이 있지만, 우리가 살면서 기분을 크게 느끼는 것은 연단위의 시간입니다. 그러므로 논리로 푸는 사주명리학인 석하명리에서는 기분의 변화를 연단위에 맞추어 미래를 추론합니다.

연 단위의 기분은 10년을 주기로 반복합니다. 그 중 5년은 상승하는 시기고, 5년은 하락하는 시기입니다. 그러나 기분이 변화하는 것과 그 변하는 기분을 몸으로 느끼는 체감시기와는 시차가 있기 때문에 4단계로 구분하여 자연과 같이 인생 사계절이라 이름붙였습니다.

기분을 기준으로 구분하면 기분이 좋아지는 시기는 "봄, 여름"이고, 기분이 나빠지는 시기는 "가을, 겨울"입니다.

체감을 기준으로 구분하면 기분이 좋아지는 시기는 "여름, 가을"이고, 기분이 나빠지는 시기는 "겨울, 봄"입니다.

우리의 삶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체감의 기분상태입니다. 기분 좋은 시기에 무엇을 해야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고, 일어난 일이 나를 힘들게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시기를 몰라 기분이 나쁜 시기에 무엇을 하면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없고, 일어난 일이 나를 힘들게 합니다. 

사주팔자는 태어난 시간이므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때의 기운의 분포(氣分)도 정해집니다. 이러한 기분이 위 그래프와 같이 변화해 갑니다. 즉 변화해 가는 과정도 태어남과 동시에 정해집니다. 즉 태어나면서 정해진 인생 사계절을 살아갑니다. 같은 시간대에 태어난 사람들은 모두 같은 기분의 변화를 가지고 살아갑니다. 그러나 개인의 노력이나 환경에 따라 기분의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삶의 모습은 다릅니다.

사주팔자가 같다고 같은 삶을 살지 않습니다. 의사의 집안에서 성장하면 의사가 될 확률이 많고, 법조계의 집안에서 성장하면 법조계로 나갈 확률이 많으며, 군인의 집안에서 성장하면 군인이 될 확률이 많은 것 처럼 환경도 중요합니다. 모두가 아침을 맞이하지만 기분은 모두 다르듯이 삶의 모습은 다릅니다. 기분의 상태를 활용하여 나아갈 때와 물러설 때를 알고 살아가면 내가 편안하고, 내가 편안하면 주위를 편안하게 만듭니다.

기분의 변화에 따라 삶에서 어떻게 되는지 다음에 연결하여 기술하겠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인천철학관애가타(Aegata) | 박성희 | 인천시 부평구 대정로66(다운타운 일레븐) | 사업자 등록번호 : 454-02-01030 | TEL : 010-9906-4264 | Mail : psunghee2000@daum.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