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사주잘보는곳
- 운세풀이
- 계양구철학관
- 창업성공방법
- 인터넷사주풀이
- 동국대학교
- 인천철학관
- 인천사주잘보는곳
- 작전동철학관
- 음양오행
- 부천철학관
- 운세풀이잘하는곳
- 사주명리학
- 출산택일
- 인천작명소
- 사주풀이잘하는곳
- 사주팔자
- 운세보기
- 미래예측학박사
- 논리로푸는사주명리학
- 재물운
- 궁합
- 창업성공비결
- 애가타
- 부천작명소
- 인천유명한철학관
- 사주풀이
- 부평철학관
- 인천운세잘보는곳
- 사업운
- Today
- Total
인천철학관 애가타(Aegata)
재미있는 사주이야기(1) 본문
내 사주에 역마살(驛馬殺)이 있다는데…
대만(臺灣)의 양상윤(梁湘潤)은 신살탐원(神殺探原)에서 신살(神殺)의 수가 300여개에 이른다고 주장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역마살(驛馬殺)이다.
역마살은 역마(驛馬)와 살(殺)이 결합된 단어다.
역마(驛馬)의 역(驛)에는 말마(馬)가 있어서 말과 연관된 의미가 있다. 기차역의 역도 같은 단어이다. 오늘날의 기차역은 기차가 정차했다 손님이 하차하고 승차하면 다음 정거장으로 이동하는 지점이다. 예전에는 말을 이용하여 중앙관서에서 지방관서로 이동하는 수단으로 말을 이용했다. 역은 30리(12㎞)마다 하나씩 두었다. 역에서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준비된 말을 역마(驛馬)라 하였다.
예전에는 이 역마(驛馬)를 이용하여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였다. 관원을 태우고 장거리를 이동하던 말을 쉬게 하면서 여물도 제공하고, 관원도 하루 묵어가는 곳을 역이라 하였다. 역은 말을 교체하는 곳이다. 장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역마(驛馬)를 계속 갈아타야 했다. 이렇게 역마는 역에서 역으로 고단한 행진을 계속한다. 이러한 행진을 반복하며 떠도는 것을 ‘역마(驛馬)’신세라 하였으며, 고달프고 처량한 신세가 아닐 수 없다.
살(殺)의 의미는 ‘사람을 헤치거나 물건을 깨뜨리는 모질고 독한 귀신의 기운’을 말한다. 구체적인 실체는 없지만 사람에게 갑자기 들이닥친 병, 사고 등이 ‘살(殺)’때문이라 생각했다.
역마살(驛馬殺)은 ‘역마처럼 이곳저곳 떠돌아다니는 액운’이라는 뜻이다. 어쩔 수 없이 돌아다닌다면 그것도 일종의 ‘액운’으로 본 것이다. 결국은 그 액운이 ‘사람을 지치게 하고 파멸로 이끈다.’ 고 하여 대단히 무서워하는 살이며, 안 좋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사주에 역마살(驛馬殺)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주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야 한다.
위 사주는 1905년 양력 11월 17일 19:00를 동양의 시간부호인 간지로 표시한 것으로 사주는 태어난 시간인 연, 월, 일, 시를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 기록한다.
각 부분의 명칭은 크게 천간과 지지로 나누어지며, 줄여서 간지(干支)라 한다.
연(年)에 있는 천간은 연간(年干), 지지는 연지(年支)라 하고, 천간과 지지를 합하여 연주(年柱)라 한다.
월(月)에 있는 천간을 월간(月干), 지지를 월지(月支)라 하고, 천간과 지지를 합하여 월주(月柱)라 한다,
일(日)에 있는 천간을 일간(日干), 지지를 일지(日支)라 하고, 천간과 지지를 합하여 일주(日柱)라 한다,
시(時)에 있는 천간을 시간(時干), 지지를 시지(時支)라 하고, 천간과 지지를 합하여 시주(時柱)라 한다,
위 사주에서 乙은 연간, 巳는 연지, 乙巳는 연주가 되며, 丁은 월간, 亥는 월지, 丁亥는 월주, 庚은 일간, 申은 일지, 庚申은 일주, 乙은 시간, 酉는 시지, 乙酉는 시주가 되어 연주는 乙巳, 양력 11월을 표시한 월주는 丁亥, 11일을 표시한 일주는 庚申, 19:00를 표시한 시주는 乙酉가 된다.
4개의 글자와 4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어 사주팔자(四柱八字)라 한다.
역마살은 연지와 일지에 있는 지지를 보고 판단한다.
사주에서 역마살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사주의 연지에 亥나 卯 혹은 未가 있을 때 다른 지지 즉 월지, 일지, 시지에 사(巳)가 있으면 연지역마라 하여 역마살이 있는 것이다.
사주의 일지에 亥나 卯 혹은 未가 있을 때 다른 지지 즉 연지, 월지, 시지에 사(巳)가 있으면 일지역마라 하여 역마살이 있는 것이다.
사주의 연지나 일지에 寅이나 午 혹은 戌이 있을 때 다른 지지에 신(申)이 있으면 역마살이 있다.
사주의 연지나 일지에 巳나 酉 혹은 丑이 있을 때 다른 지지에 해(亥)가 있으면 역마살이 있다.
사주의 연지나 일지에 申이나 子 혹은 辰이 있을 때 다른 지지에 인(寅)이 있으면 역마살이 있다.
아래의 사주에서 역마살을 찾아본다.
연지에 巳酉丑 중 한 글자가 있을 때 나머지 지지에 해(亥)가 있으면 연지역마(驛馬殺)가 있는 것이다.
위 사주는 연지에 사(巳)가 있으면서 월지에 해(亥)가 있으므로 연지역마살이 구성되어 역마살이 있다.
일지에 申子辰 중 한 글자가 있을 때 나머지 지지에 인(寅)이 있으면 일지역마살(驛馬殺)이 있다고 한다.
일지에 신(申)이 있으나 일지외의 지지에 인(寅)이 없으므로 일지역마는 없다.
그러므로 역마살(驛馬殺)이 있는 사주다.
역마살은 안 좋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꼭 필요한 살이라고 할 수 있다. 여행업, 영업직, 운송업등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있어야 하는 살이기도 하다.
'사주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잘하는사주" 인천철학관애가타(Aegata) (0) | 2017.05.22 |
---|---|
공부운,학업운.인천철학관 (0) | 2017.05.21 |
사주공부합시다. (0) | 2017.05.15 |
정화일간의 특성, 인천철학관 애가타(Aegata) (0) | 2017.05.10 |
한국유명한철학관,사주명리학공부, 애가타(Aegata) (0) | 2017.05.06 |